네이버/네이버 플레이스 마케팅

[소상공인 마케팅] 왜 인스타그램·페이스북만으로는 부족할까?

신마성 2025. 5. 2. 02:19

“광고도 하고, 인스타도 올리는데 왜 손님이 안 올까요?”

지역 기반 사업을 운영하는 사장님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입니다.

 

요즘은 다들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으로 마케팅을 시작하지만,

특히 지역 상권이라면 그보다 먼저 챙겨야 할 것들이 따로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분당에서 요가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예시를 들어,

소상공인이 광고보다 우선 정비해야 할 마케팅 순서를 정리해드립니다.


SNS 광고, 정말 효과 없는 걸까?

아닙니다. SNS 광고도 당연히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지역 기반 비즈니스일수록 광고보다 “검색”이 먼저라는 점을 알아야 해요.

예를 들어,

분당 서현역 근처에서 요가 스튜디오를 운영하는데,

  • 네이버 플레이스 없음
  • 블로그 후기 없음
  • 지도에 검색해도 정보 없음
  • 그런데 인스타그램 광고만 계속 집행

이러면 광고를 봐도 고객은

“어디 있는지도 모르겠고 정보도 부족해서” 예약하지 않아요.


왜 인스타그램·페이스북만으로는 부족할까?

1. 노출은 되지만, 검색이 안 돼요

SNS 광고는 스크롤 중에 잠깐 보여주는 형식입니다.

검색어를 직접 입력한 고객에게는 거의 도달하지 못해요.

지역 상권의 핵심은 "보여주는 광고"보다 "찾아오는 고객"입니다.

 


2. 타겟이 지역과 멀어요

인스타 광고에서 "요가 관심 있는 사람 + 분당 거주자"

이 조건을 완벽히 타겟팅하긴 어렵습니다.

광고는 전국 단위로 뿌려질 수 있고,

실제로는 판교, 야탑, 성남 외곽에서 뜰 수도 있어요.

반면, 네이버 검색에서 ‘서현역 요가 추천’이라는 키워드로

직접 검색한 사람은 → 지금 등록할 확률이 훨씬 높아요.


3. 클릭해도, 정보가 없으면 전환이 안 돼요

광고를 보고 "오 좋다" 하고 검색해봤는데,

  • 홈페이지 없음
  • 후기도 없음
  • 요금표나 위치 안내도 없음

이러면 고객은 망설이다가 다른 곳으로 갑니다.

SNS는 관심만 줄 뿐, 전환은 검색 채널에서 이뤄져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마케팅 순서

단계  채널 목적 예시
1단계 네이버 플레이스 지도 노출 + 필수 정보 위치, 운영 시간, 주차, 요금표
2단계 네이버 블로그 후기 + 검색 노출 “서현역 요가 비교”, “첫 수업 솔직 후기”
3단계 인스타그램 사진/영상 콘텐츠 + 후기 리그램 수강생 후기, 공간 분위기 공유
4단계 SNS 광고 인지 보완 + 리타겟팅 스토리 광고, 릴스 중심 홍보

실전 예시: 분당 요가 스튜디오라면?

잘못된 경우

  • 인스타 릴스 광고만 반복
  • 지도에 등록도 안 되어 있음
  • 수업 내용이나 강사 소개 없음
  • → 광고비만 쓰고 문의 없음

올바른 흐름

  • 네이버 플레이스 최신 정보 등록
  • 블로그에 체험 후기 2~3개 운영
  • 인스타그램에서 수강생 후기 리그램
  • 이후 타겟 광고로 “서현 직장인 요가” 홍보
  • → 체험 수업 예약 증가

마무리 정리

인스타그램·페이스북은 도달을 위한 좋은 도구지만,

지역 상권에서는 ‘검색에 나오는 정보’가 훨씬 중요해요.

SNS 광고만 믿기보단,

먼저 “고객이 직접 찾을 수 있는 정보”부터 정비하는 게 우선입니다.

플레이스, 블로그, 지도 노출이 갖춰져야 SNS 광고가 효과를 발휘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