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 실무도구/Genspark 이미지 생성 AI

[캐릭터 디자인] 캐릭터 키와 몸무게, 시각적 비례로 추정하는 방법

신마성 2025. 5. 4. 19:19

AI 이미지 툴로 캐릭터를 만들다 보면,

"이 캐릭터 키는 몇 cm일까?" "몸무게는 어느 정도일까?" 같은 질문이 생깁니다.

 

특히 고정 캐릭터를 영상, 굿즈, 애니메이션에 활용하려면 신체 스펙의 일관성도 중요한 요소예요.

이번 글에서는 9:16 비율의 전체 전신 이미지 기준으로,

캐릭터 키와 몸무게를 시각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예시와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1. 전제 조건 정리

캐릭터의 키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레임 기준 비율과 캐릭터 스타일을 파악해야 해요.

항목  내용
이미지 비율     9:16 (세로형 모바일 영상 비율)
프레임 대비 비율     캐릭터는 전체 높이의 약 85%**를 차지
캐릭터 스타일     통통하고 털이 풍성한 아기 토끼형
적용 기준     실제 동물보다 인간 유아형 체형 기준에 가까움

2.  키와 몸무게 시각적 추정 결과

항목  추정값  설명
약 95cm 둥근 머리 비중이 크고, 전체 프레임의 85%를 채우는 점을 고려
몸무게 약 13kg 짧은 팔다리 + 풍성한 털 + 통통한 체형을 기반으로 한 유아형 기준

※ 해당 수치는 실제 동물이 아닌, 아기 체형 캐릭터를 사람 기준으로 치환했을 때의 시각적 추정입니다.


3. 프롬프트에 넣을 문장 예시

이런 스펙은 프롬프트에 넣으면 캐릭터의 신체 비례, 체형, 분위기까지 더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어요.

The character is approximately [키 cm] tall and weighs around [몸무게 kg],
giving it a [체형/분위기, 예: chubby, toddler-like] appearance.  

It has a [신체 특징 1, 예: rounded body], [신체 특징 2, 예: short limbs], and 
[신체 특징 3, 예: fluffy fur], contributing to a [전체 인상, 예: small and stocky silhouette].

마무리 Tip

AI 툴은 아주 정교하지만, 키나 체중처럼 숫자로 표현된 신체 정보가 없으면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어요.

그래서 고정 캐릭터를 설정할 때는 이미지 비율, 프레임 내 비중, 스타일 특성, 키·몸무게 정보까지 함께 명시하면


다양한 장면에서도 일관성 있는 캐릭터 연출이 가능합니다.

이런 기준을 한 번 정해두면, 이후에 프롬프트만으로도 영상 제작부터 굿즈 디자인까지 훨씬 수월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