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한글 이미지 생성 오류, 이렇게 해결하세요
AI 이미지 툴로 한글 이미지를 만들었는데
'마케터 전용'이 '마케터 전묭'으로,
'전략적'이 '전랔적'으로 바뀌었다면?
저도 처음엔 당황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정확히 원하는 스타일로
한글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찾았어요.
오늘은 그 과정을 정리해서 공유해볼게요.
1. AI는 아직 한글에 약해요
Midjourney, DALL·E, Stable Diffusion 등 대부분의 이미지 생성 AI는
한글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해요.
- 글자 모양이 틀어지거나
- 자음/모음이 엉뚱하게 바뀌거나
- 전혀 다른 단어로 왜곡되기도 해요
이건 AI가 영어 중심 데이터로 훈련되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그대로 사용하기엔 아쉬운 경우가 많아요.
2. 그럼에도 스타일은 만들 수 있어요
한글 텍스트가 100% 정확하지 않더라도,
['스타일', '색상', '배치', '느낌']은 충분히 구현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했어요.
3. AI 한글 이미지 만들기, 이렇게 해결했어요
1) 이미지 분석
먼저 제가 원하는 한글 스타일이 담긴 이미지를 분석했어요.
예:
쿠폰7.png에서 본 글씨는 이렇게 생겼어요.
- 굵고 각진 고딕계 산세리프
- 복고풍 톤앤매너
- 베이지 배경 + 붉은색 텍스트 + 프레임 포함
2) 유사한 글씨체 찾기
AI가 한글을 왜곡해도,
비슷한 분위기의 글꼴은 직접 지정할 수 있어요.
예시 글꼴:
- 대한민국체
- 배민 도현체
- 아리따 돋움체
- 본고딕 Bold
이 글꼴 느낌으로 이미지 안에 텍스트 스타일을 고정했어요.
3) 원하는 구조로 문구 배치
문구는 이렇게 구성했어요.
- 첫 줄: 마케터 전용
- 둘째 줄: 전략적 소비 쿠폰
중앙 정렬로 배치하고, 상하 여백도 균형 있게 맞췄어요.
전체 프레임 안에 안정감 있게 들어가도록 구성했죠.
Tip. 이 이미지는 포스터로 활용할 수 있게 3:2 비율로 설정했어요.
텍스트는 전체 프레임의 85~90%만 차지하도록 조정했기 때문에
글씨가 잘리거나 답답해 보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정리됐어요.
4) 프롬프트 명령어: "학습해"
이 스타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AI에게 이렇게 말하면 돼요:
"이 이미지 스타일을 학습해."
"앞으로 이 느낌 그대로 유지해줘."
저는 이렇게 명령해서 "쿠폰10.png" 스타일을 학습시켰어요.
이제 이 느낌을 기억하고 계속 유지할 수 있어요.
5) 프롬프트 명령어: "학습한 거 반영해줘"
스타일을 학습시킨 후에는, 문구만 바꿔서 이미지 생성도 가능해요.
예:
- “SNS 운영자 전용 쿠폰”
- “카페 사장님 5월 혜택”
이럴 때는 AI에게 이렇게 말해요:
"학습한 거 반영해서 다시 만들어줘."
그럼 자동으로 같은 스타일, 색상, 구성으로 새 이미지가 생성돼요.
한글 글자만 바꿔도 스타일은 그대로 유지되니까 아주 편리해요.
6) 리디자인: 잘못된 글자 수정
기존 이미지에서 전랔적'처럼 깨진 글자를
정확한 ‘전략적’으로 수정해서 다시 만들어냈어요.
결과물은 실제 마케팅에도 바로 쓸 수 있을 정도로 완성도 있게 나왔어요.
3. 결론: 분석 → 학습 → 반영, 이 순서로 해결돼요
AI가 아직 한글 텍스트에 완벽하진 않지만,
스타일을 기준 삼고 글자를 사람이 마무리하면
오히려 빠르고 고퀄리티 이미지를 만들 수 있어요.
4. 실무 Tip
- AI로 스타일 시안을 만들고
- Canva나 Figma에서 실제 글씨로 마무리
- 반복 작업이 많다면 스타일 하나 정해서 학습해두는 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