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블로그 마케팅
[블로그 마케팅] 검색어와 검색량, 완전일치 vs 확장일치
신마성
2025. 4. 21. 14:46
– 키워드 수집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차이
키워드 툴에서 루테인 복용법의 검색량이 3,200이라고 나왔어요.
그런데 블로그에 글을 써도 방문자가 거의 없어요. 왜 그럴까요?
이럴 땐 ‘검색량’이 실제 검색 수와 다를 수 있는 구조적 함정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그 핵심은 바로 완전일치 vs 확장일치 개념입니다.
1. 완전일치와 확장일치란?
구분 | 정의 | 예시 |
완전일치 | 검색어가 정확히 일치한 경우만 집계 | 사용자가 루테인 복용법 그대로 검색 |
확장일치 | 관련 단어·유사 문장형 검색어까지 포함 | 루테인 복용법 추천, 루테인을 복용하는 방법, 루테인 복용법은? 등 포함 |
→ 대부분의 키워드 툴(특히 네이버 키워드 도구, 키워드마스터)은
확장일치 기준의 검색량을 보여줍니다.
2. 왜 이 차이가 중요한가?
- 내가 완전일치 키워드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구성했는데,
- 확장일치 검색어까지 포함된 수치를 보고 글을 기획하면,
- 실제 검색자와의 언어 사용 차이, 검색 습관 차이 때문에 유입이 적을 수 있음.
3. 실무 예시: 검색량과 실제 유입 차이
키워드 툴에 표시된 검색량 | 실제 완전일치 | 검색량 추정 | 주의할 점 |
루테인 복용법 | 3,200 | 약 500 이하 | 나머지는 유사 검색어(루테인 복용법 후기, 복용법은?) |
콜라겐 효과 | 5,800 | 약 1,200 | 콜라겐 효과 있나요, 콜라겐 효과 후기 등 포함됨 |
밀크씨슬 | 10,000 | 약 8,000 이상 | 단일 키워드라서 차이가 적음 |
단일 키워드는 오차가 적고, 문장형 키워드는 오차가 큽니다.
4. 키워드 툴의 확장일치 기준이 왜 위험할 수 있나?
- 사용자가 검색할 땐 다양한 말투와 조사, 문장 구조를 사용
- 툴은 이들을 묶어서 검색량을 뭉뚱그려 표시
- 실무자는 그 숫자를 그대로 믿고 실제 검색 의도와 안 맞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음
5. 실무 마케터를 위한 키워드 수집 팁
항목 | 전략 |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 | 실제 검색어 패턴을 2~3개로 분해해서 확인 |
완전일치 검색 확인법 | 네이버에서 직접 따옴표 검색 → "루테인 복용법" |
콘텐츠 기획 | 확장일치 관련 키워드를 본문 흐름 속에 자연스럽게 분산 삽입 |
소제목 전략 | 확장형 표현을 소제목으로 다양하게 활용 예: 루테인 복용법 추천, 복용 시간은?, 부작용 없이 먹는 법 |
6. 정리
키워드 툴의 검색량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확장일치 기준이며,
실무에서는 반드시 완전일치 기준으로 핵심 키워드를 정하고,
나머지는 유사 표현으로 본문에 흡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