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어떤 질문은 '더 많이' 소모할까?
ChatGPT는 단순히 "질문 개수"만으로 리소스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입력 길이, 출력 예상 분량, 추론 복잡도에 따라 내부적으로 소모되는 연산량이 다릅니다.
그래서 같은 1개의 질문이라도 어떤 질문은 무겁고, 어떤 질문은 가볍습니다.
이걸 모르고 쓰면 몇 개 안 물어봐도 곧바로 “제한에 도달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만나게 되죠.
🔥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질문 유형 TOP 6
① 긴 글 요약 / 번역 / 재작성 요청
- 문제점: 수천 개의 단어를 한 번에 분석하려고 하면 토큰(token) 수가 폭발
- 예:
- ❌ “이 논문 요약해줘”
- ✅ “이 문단만 3줄로 요약해줘”
② 이미지 분석 / 코드 생성 요청
- 문제점: 시각 정보나 논리적 구조 분석은 GPT 내부에서 연산량이 급증
- 예:
- ❌ “이 코드 전체 프로젝트로 완성해줘”
- ✅ “이 함수 하나만 수정해줘”
③ 한 번에 대량 결과 요청 (예: 제목 25개 만들어줘)
- 문제점: 반복 생성 → 출력 토큰 수가 매우 많아짐
- 예:
- ❌ “광고 문구 20개 뽑아줘”
- ✅ “5개씩만 나눠서 해줘”
④ 창의적 글쓰기 / 마케팅 카피 요청
- 문제점: GPT는 다양한 결과를 생성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더 많은 리소스를 씀
- 예:
- ❌ “이 제품에 어울리는 감성적인 광고 문구 10개 써줘”
- ✅ “이 스타일로 짧은 문장 3개만 만들어줘”
⑤ 단계별 설명 요구 (Step by step)
- 문제점: 논리 전개, 과정 나열 = 추론 트리 복잡도 상승
- 예:
- ❌ “이 개념을 초등학생에게 단계별로 알려줘”
- ✅ “핵심 개념만 한 문장으로 알려줘”
⑥ 장기 세션 (대화를 계속 이어가기)
- 문제점: 이전 대화도 계속 문맥에 포함되면서 메모리 소모 증가
- 예:
- ❌ “아까 그 제품 기억하지? 그 스타일로 다시 만들어줘”
- ✅ “화이트 톤 감성 무드등 스타일로 다시 3개만 만들어줘”
🧩 요약 정리
유형리소스 소모 이유해결 팁
긴 글 요약 | 토큰 수 폭발 | 문단 단위로 나누기 |
이미지/코드 | 연산량 급증 | 작은 범위로 요청 |
대량 생성 | 출력 길이 과다 | 5개 단위로 나누기 |
창의적 생성 | 후보 생성 비용 ↑ | 예시 주고 짧게 요청 |
Step-by-step | 논리적 추론 부담 | 핵심만 요청 |
장기 세션 | 문맥 누적 | 새 챗에서 재질문 |
👉 [다음 편 예고]
그럼 이 리소스를 어떻게 줄이고, 효율적으로 질문할 수 있을까요?
다음 글에서는 ‘리소스를 아끼는 똑똑한 질문법’을 소개합니다.
'마케터 실무도구 > Chat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리뷰 분석, 시작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4단계 (0) | 2025.04.08 |
---|---|
ChatGPT 가장 잘 되는 시간은 언제일까? – 서버 부하 적은 시간대 & 실전 사용 전략 (0) | 2025.04.07 |
리소스를 아끼는 ChatGPT 질문법 – 제한 없이 더 많이 쓰는 실전 전략 (0) | 2025.04.07 |
ChatGPT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질문 유형 TOP 6 (0) | 2025.04.07 |
ChatGPT는 요일마다 다르게 작동할까? – 체감된 사용량 차이의 진실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