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마케팅] 네이버에서 키워드 순서가 달라지면 검색 결과도 달라질까?

– 채널별 키워드 일치 인식 차이와 슬래시(/) 사용 시 주의점까지 정리


마케팅 콘텐츠를 만들다 보면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

 

"루테인복용법후기로 검색하면 잘 뜨던 글이,

루테인으로 복용법 후기로 검색하면 다른 글이 보여요. 왜 이럴까요?"

 

또 이런 경우도 있죠.

 

"복용법/후기 포함이라고 상품명을 적었는데,

복용법 후기로 검색하면 내 상품이 안 떠요. 키워드는 넣었는데 왜 안 되죠?"

 

오늘은 네이버가 키워드를 인식하는 방식과 함께,

초보 마케터가 자주 실수하는 키워드 순서, 형태, 기호(슬래시 등) 사용 시의 주의점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키워드 순서와 형태는 왜 중요할까?

네이버는 키워드를 단순히 "포함 여부"만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따집니다.

  • 단어 순서: 사용자가 입력한 순서대로 콘텐츠 내에 등장하는지
  • 형태: 복합어인지, 문장인지, 띄어쓰기 상태인지

예를 들어,

검색어  인식 방식 설명
루테인복용법후기 복합 명사형 키워드 하나의 키워드처럼 인식됨
루테인으로 복용법 후기 문장형 조사(으로) 포함 → 문장으로 해석됨

→ 이 때문에 검색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것입니다.


2. 채널별로 키워드 인식 방식이 다르다

 

채널 단어  순서 민감도  형태 인식  특징
통합검색 매우 높음 매우 민감 키워드 순서와 형태가 모두 정확히 맞아야 상위 노출
블로그 낮음 중간 자연스러운 문맥 내 포함이면 OK
카페 낮음 낮음 제목 위주 매칭. 순서나 형태에 크게 영향 없음
뉴스/기사 중간 낮음~중간 정보 전달 중심. 키워드보다 내용 전개가 중요
쇼핑 높음 높음 상품명/옵션/태그에 정확하게 포함돼야 노출 유리

3. 슬래시(/)·하이픈()·쉼표(,) 같은 기호는 검색에 어떤 영향을 줄까?

기호는 네이버가 키워드를 구분하는 ‘분리자’로 인식합니다.

즉, 슬래시(/)는 단어 사이를 끊어버리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표현 검색어  복용법 후기와의 매칭
복용법 후기 정확 일치 (검색 최적)
복용법/후기 부분 일치로 처리 (정확 일치 아님)
복용법-후기 하이픈도 분리자로 인식되나 일부 케이스는 일치 허용
복용법.후기 마침표도 분리자로 인식, 일치도 떨어짐

정확하게 검색되길 원한다면, 기호 없이 띄어쓰기된 단어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4. 실무 마케터를 위한 채널별 키워드 대응 전략

   

플랫폼 유형제목 및 키워드 활용 방식 설명예시 권장 사항 비권장 사항
통합검색 키워드는정확한 순서, 띄어쓰기 포함 삽입 루테인 복용법 후기 정리해봤어요 정확한 키워드 문구 입력 키워드 순서 바꾸기, 띄어쓰기 무시
블로그 제목은 2단어 조합 중심, 본문에 확장 키워드 자연 삽입 루테인 복용법과 후기, 효과까지 알려드려요 확장 키워드 포함 문장형 구성 키워드 나열만 한 제목
카페 제목에 키워드를 나열해도 무방 루테인 복용법 후기 – 직접 먹어본 느낌 키워드 나열식 제목 사용 가능 문맥 없이 키워드만 나열
뉴스/기사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문장 속에 삽입 최근 루테인 복용법에 대한 소비자 후기 수요가 늘고 있다 기사 스타일에 맞춘 문장형 키워드 삽입 노출만을 위한 억지 삽입
쇼핑 상품명, 옵션명, 태그에 정확히 키워드 삽입, 슬래시(/), 하이픈(-) 지양 루테인 복용법 후기 포함 패키지, 루테인 복용법 후기 추천 키워드 반복 없이 정확하게 삽입 복용법/후기, 루테인-복용법 등 기호 사용

5. 정리

 

항목 요약
키워드 순서·형태 통합검색과 쇼핑에서 특히 중요. 순서/띄어쓰기 유지 권장
슬래시(/) 같은 기호 키워드 일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쇼핑 상품명에서는 지양
채널별 전략 각 카테고리별 인식 방식에 맞게 키워드 배치 전략을 달리해야 상위 노출 가능

 

“키워드를 넣었다고 끝이 아닙니다.

어떻게 넣었는지, 어떤 순서로 넣었는지, 어떤 기호로 구분했는지까지가

실제 노출을 좌우합니다.”

 

블로그 주인장

신입 마케터 성장일기

스티커 버튼 Top으로 이동